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93길 40(역삼동 704-45),
나라키움 역삼A빌딩 3~4층
대표자 : 서영우ㅣ성장지원팀 : 02-6230-0306
경영지원팀 : 02-6230-0303ㅣ FAX : 02-6230-0307
E-mail : svhc@svhc.or.kr
Copyright 2023 ⓒ 서울소셜벤처허브,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93길 40(역삼동 704-45), 나라키움 역삼A빌딩 3~4층
대표자 : 서영우 성장지원팀 : 02-6230-0306 경영지원팀 : 02-6230-0303 FAX : 02-6230-0307 E-mail : svhc@svhc.or.kr
Copyright 2023 ⓒ 서울소셜벤처허브, ALL Rights reserved
[디자인으로 완성한 사회적기업]①페이퍼팝
이사를 해야한다고 생각하면 가장 고민거리 중 하나는 오래된 가구다. 버리자니 비용이 들고 새 집으로 옮기자니 쓸일이 적어보인다. 버려진 가구도 결국 소각로에 들어갈 가능성이 크다. 골판지 소재로 가구를 만드는 사회적기업 '페이퍼팝'의 고민도 여기서 시작됐다.
박대희 페이퍼팝 대표는 박스회사에서 4년가량 근무경력을 바탕으로 2018년 8월 창업에 뛰어들었다. 박스에 쓰이는 골판지 소재가 생각보다 좋은 소제인 것을 깨닫고 가구로 활용하는 방안을 고민했다고 한다. 유엔(UN)이 2016년 제시한 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국가 지속가능발전 목표)의 12번째 항목인 '책임있는 생산과 소비'를 추구하는 게 이 회사의 목표이다.
페이퍼팝이 선보인 첫 종이 가구는 책장이었다. 목재보다 가벼운 데다 최대 95%까지 재활용이 가능해 순환경제 모델에 적합한 제품이다. 원료 역시 재생소재를 활용한 특수 이중 양면 골판지를 사용해 무게와 습기에 강하도록 설계했다. 서울 기준으로 가구 매년 5000톤(t)이 버려지고 그로 인한 사회적비용은 200억원에 달하는데 지난해 기준으로 1065톤의 폐기물 절감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한다.
이 회사는 종이책장에 이어 침대를 만들었다고 한다. 2020년 도쿄올림픽에서 200만원이라는 가격으로 종이침대를 공급해 논란이 일었는데 단돈 8만원(매트리스 제외)에 배송까지 한다는 소식이 입소문을 타 회사이름이 알려졌다고 한다. 이어 야외에서 사용하는 등받이 의자, 수납정리함 등으로 제품 구성을 늘려나갔다.
페이퍼팝이 한계에 부딪힌 것은 최근 들어서다. 구체적인 브랜딩이나 정해진 목표 없이 제품을 만들다가 한계를 맞이했다는 게 박대희 대표의 설명이다. 회사 전체를 관통하는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고 이를 알리기 위해 올해 초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운영하는 디자인 지원 프로그램의 손을 빌렸다.
원문 보기